
미 경기후퇴 우려 속 물가 상승세 둔화조짐
27일 발표될 미국 3분기 개인소비지출(PCE) 증가율에 대한 시장 전망치는 1%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대확산 초기 이후 최저치이며 2분기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 4월 이후 매월 미국 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을 추월하면서 상품 소비는 7∼8월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올해 1·2분기 연속 마이너스였던 미국 경제성장률도 3분기에는 플러스로 반등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소비 증가 덕분이 아닌 수입 감소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게다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와 관련해 집값 하락 폭이 커진 것도 인플레이션 완화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날 발표된 미 주요 도시 집값 지표인 8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9% 하락했다.
이 지수는 지난 7월 10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두 달 연속 내렸으며, 하락 폭은 7월보다 훨씬 커졌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10월 소비자신뢰지수도 102.5로 8월(103.2)과 9월(107.8)보다 떨어져 경기둔화 우려로 가계의 소비 심리도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퍼런스보드 측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소비자 심리와 지출에 강력한 걸림돌이 될 것"이라면서 "재고가 이미 준비돼있는 만큼 수요가 모자라면 판매 가격 할인 폭이 커져 소매업자들의 이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라보뱅크, 연준, 금리 4.75~5% 이후 인상 중단 | 01/29 | 11 |
WSJ- 세계 경제 우려보다 나은 상황 | 11/23 | 252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고금리시대, 오래가지 않을 것" | 11/21 | 237 |
가상화폐 가격 하락에 월가 기관들 포트폴리오에서 배제 | 11/14 | 287 |
CPI 개선...크루그먼 "경제 연착륙 가능성 커졌단 의미" | 11/11 | 267 |
인플레 정점, 다시 주식·채권 투자해야-JP모건 | 11/10 | 283 |
자율주행 인텔 자회사 모빌아이 나스닥 상장 | 10/26 | 334 |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 재개…10년물 수익률 3.7%대 돌파 | 09/26 | 364 |
매파 연준에 달러화, 고공행진 | 08/20 | 585 |
지난 2분기 미국의 집값 사상 최고가 ...오름세는 주춤 | 08/15 | 670 |
미 7월 소비자물가 8.5% 올라 | 08/10 | 695 |
5월 전미 주택가격지수 19.7% 상승... 상승률 둔화 | 07/26 | 756 |
금리상승·주가 급락에도 부유층 대출 급증…이유는 | 07/25 | 812 |
세계 각국 '인플레 대응' 총력전 | 07/21 | 724 |
부동산 플랫폼 ESR 한국 개발 JV 규모 1조에서 2조로 키워 | 07/06 | 8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