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 지표 강세 등에 6개월래 최고치
미국에서 각종 경제지표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강세를 보이고 유럽중앙은행(ECB)이 긴축 통화 기조를 종료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이자 달러화 가치가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CNBC 방송에 따르면 유로화·엔화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이날 0.64% 상승한 105.41로 장을 마쳤다.
이는 지난 3월 9일 장중 최고치 105.43에 거의 육박한 수준이다.
유로화는 이날 ECB가 수신금리를 사상 최고치인 4%로 인상한 후 1년 넘게 진행된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마무리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였다.
유로화는 0.89% 하락한 1.0635달러로 3월 17일 이후 최저였으며, 지난 7월 27일 이후 하루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영국 파운드화도 0.68% 하락했으며, 중국 역외 위안화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하겠다고 발표한 후 약세를 보였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8월 소매 판매는 휘발유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전월대비 0.6% 증가, 시장의 예상치(0.2%)를 크게 웃돌았다.
또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만 건이 늘어, 5주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으나 시장의 예상치 22만5천건에는 미치지 못했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휘발유 가격 상승에 영향을 받아 0.7% 상승해 예상치 0.4%를 상회했다.
실버골드불의 외환 및 귀금속 리스크 관리 담당 에릭 브레가 이사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가 현재 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 점을 고려하면 이번이 마지막 인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미국에서 발표된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소매 판매, 생산자물가지수 등 모든 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였기 때문에 달러화 가치가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처럼 예상을 뛰어넘는 경제지표 강세로 현재의 고금리 상황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달러화 강세와 함께 채권 수익률을 끌어올리자, 금은 투자 매력이 떨어지면서 3주 만에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금 현물은 장 중 한때 1.900.81달러를 기록, 8월 23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금 선물은 보합세였다.
하이 릿지 퓨처스의 귀금속 거래 담당 데이비드 메거 이사는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채권 수익률이 상승해 금 현물시장에 지속해서 압박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5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142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156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124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138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138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165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152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150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199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218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222 |
연준, '빅컷'으로 인하 개시…연내 추가 50bp 시사 | 09/18 | 218 |
미 8월 신규주택 착공 9.6% 상승 | 09/18 | 209 |
미국의 주택 매물이 급증, 사상 최고치 경신한 집값 때문? | 08/20 | 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