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미 연준 이달말 양적긴축 속도조절 논의 가능성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융시스템 혼란 가능성을 우려해 조만간 '양적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해 논의할 가능성이 거론된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연준이 이르면 30~31일 예정된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양적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해 심의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리는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연준은 매달 보유자산의 만기가 도래하면 이를 상환하고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보유자산 규모를 줄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다른 구매자들이 흡수해야 할 시장 내 채권 공급이 늘어나 금리가 오르는 측면이 있다.

그런 만큼 연준이 양적 긴축 규모를 줄일 경우 이는 금리 상승 압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배경에는 인플레이션 진정이 있는 반면, 양적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서는 것은 금융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고 WSJ은 설명했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2017년 양적 긴축에 나섰지만 이 과정에서 단기 자금시장이 경색되자 2019년 이를 'U턴'한 바 있는데, 그러한 상황의 재발을 막으려 한다는 것이다.

2019년 9월 당시 단기자금시장의 콜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이 바닥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고, 연준은 추가적인 시장 불안을 막고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을 채워주기 위해 채권 매입에 나섰다.

연준은 이후 2020년 코로나19 확산 대응 과정에서 유동성 공급을 위해 국채·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통해 보유 자산을 약 9조달러로 늘렸다.

연준은 2022년 양적 긴축 시작 후 긴축 규모를 한때 매월 950억 달러로 늘렸으며, 현재는 매월 800억 달러 가량씩 이뤄지고 있다.

제목 등록일자 조회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06/30 9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06/18 22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06/17 25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05/19 96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03/02 174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01/27 285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01/23 304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01/16 281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11/25 432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11/21 423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11/11 377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10/31 399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10/24 419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10/24 434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10/24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