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물가상승 최대의 변수는 주거비
향후 미국 물가에 최대의 예측불가능한 변수는 주거비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8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국책 모기지 보증 기관인 패니메이는 지난 6월 보고서에서 임대료 상승률이 5월 약 2% 수준에서 4.5%로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물가가 2022년말 3%로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 가운데 1%포인트는 주거비에 의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6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대비 3.5%를 기록했다.
이 예상이 맞아떨어지면 물가 상승률에 대한 주거비의 비중은 1990년이후 최고 수준이 된다.
저널은 지난 6월 현재 미국의 연간 임차료 상승률은 1.9%로 집값 상승률에 비해 안정돼있지만 주택 가격의 상승에 따라 분위기가 점차 바뀌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 지난 5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1년 전보다 16.6%나 올라 1987년 통계 작성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주택 자체는 장기 투자 성격이 강해 매매 가격이 직접 물가에 반영되지 않고 환산 임대료로 산정, 반영되는데 이 임대료는 지난 4월 현재 연간 2%의 상승률을 보였다.
하지만 주택 공급 부족 등 환경 변화 속에서 주택 임대 업자들이 몇달 전부터 임대료를 크게 올리고 있다.
미국내 1인 가구용 주택 최대 공급 사업자인 '인비테이션 홈스'는 지난 2분기 임대료를 8% 올렸다.
저널은 이같은 인상률이 지속가능하지는 않지만 집값 상승에 따라 매매를 포기한 임대 수요가 늘고 집 주인들도 늘어난 세금 부담을 세입자에게 떠넘기려 하면서 임대료에 압박을 가하게 될 것으로 많은 전문가는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70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189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13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197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43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2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295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16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37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36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373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51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378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1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