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준비제도(Fed) 1월 테이퍼링 시작 합의 추진
Fed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21∼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11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작 합의를 추진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0일 보도했다.
다수의 연준 고위 인사들은 최근 인터뷰와 공개 연설에서 연내 테이퍼링 시작에 힘을 싣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매파' 성향의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은 물론 제롬 파월 의장과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까지 연내 착수에 무게를 실은 상태다.
WSJ은 당장 9월 FOMC에서 월 1천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 축소가 시작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이번 회의에서 파월 의장이 다음 FOMC 정례회의인 11월 2∼3일 테이퍼링 시작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준의 이런 물밑 움직임은 코로나19 델타 변이의 확산으로 고용 회복세에 차질이 빚어진 상황에서도 테이퍼링 '시간표'를 늦출 필요까지는 없다고 판단했음을 보여준다.
지난 3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비농업 일자리는 시장 전망치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23만5천 개 증가에 그쳐 초완화적 정책이 좀 더 연장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은 바 있다.
평균 2%의 물가상승률과 최대 고용이라는 양대 목표를 향한 "상당한 추가 진전"을 테이퍼링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연준이 고용 둔화를 이유로 신중한 태도로 전환할 수 있다는 예상이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윌리엄스 총재는 지난 8일 한 행사에서 "어떤 달은 강한 고용 지표가, 어떤 달은 그렇지 못한 지표가 나오겠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누적 수치"라며 전반적으로 올해 고용 증가세가 탄탄하다고 강조했다.
테이퍼링 세부 계획과 관련해서는 매달 일정한 수준으로 축소해 내년 중반까지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완전히 끝내는 방식이 거론된다.
구체적으로 미 국채는 매달 100억 달러씩, 주택저당증권(MBS)은 매달 50억 달러씩 매입 규모를 줄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 이후에는 '테이퍼링이 기준금리 인상의 신호는 아니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과 달리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논의가 불붙을 가능성이 크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70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189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13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197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43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2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29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16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37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36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373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51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378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1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393 |